SKT 유심 정보 유출 해킹 사건,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1. SKT 해킹 사고, 유심 정보 유출로 번지다2025년 4월 19일 밤,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에서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으로 가입자 일부의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SKT는 해킹 정황을 확인하자마자 해킹 의심 장비를 즉시 격리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습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A, 경찰 등 관계 당국이 비상대책반을 꾸려 사고 원인과 유출 규모, 해킹 경로를 조사 중입니다. 2. 유심 정보, 왜 위험한가?유심(USIM)은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가입자 인증 및 식별 정보를 담은 IC 카드로, 전화번호, 단말기 고유번호(IMEI), 유심 인증키(IMSI) 등 핵심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해..
2025. 4. 30.
통영·거제 멍게, 창원 미더덕의 대량 폐사…해산물 위기와 그 원인
1. 남해안 멍게·미더덕, 왜 사라지나?최근 통영과 거제의 멍게, 창원의 미더덕 등 남해안 대표 해산물이 대량 폐사하면서 지역 특산물과 해산물 요리의 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넙치, 조피볼락, 전복, 강도다리, 굴, 멍게, 미더덕 등 양식장 수산물의 대량 폐사로 1,430억 원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멍게의 경우, 지난해 8~9월 남해 멍게의 97%가 폐사해 냉동·활멍게 가격이 폭등했고, 창원 지역 미더덕도 채취가 어려워지면서 대표 축제인 창원진동미더덕축제가 취소되는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소속 어선의 절반 이상이 감척(어선 수 감축) 의사를 밝히는 등 어업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도 오징어(-42.1%..
2025.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