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거시경제

안정세 되찾은 물가, 하지만 연초 변수는 환율 (feat. 품목별 비교)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1. 2.
반응형

안정세 되찾은 물가, 하지만 연초 변수는 환율 (feat. 품목별 비교)

 

1. 드디어 안정된 물가

1) 하락세 유지한 물가 상승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 세계를 괴롭혔던 고물가. 다행히 2024년 들어 차츰 물가가 안정세를 되찾았습니다. 작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2022년 고점(5.1%)을 찍은 이후 2023년 3.6%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는데요. 이는 2020년(0.5%)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정부 전망치인 2.6%보다도 0.3%P 아래입니다.

 

2) 하반기 들어 안정된 물가

특히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안정세가 뚜렷해졌습니다. 작년 연초인 2~3월만 해도 3.1%였던 물가 상승률이 10월 들어 1.3%까지 낮아졌죠.

 

2. 어떤 품목이 오르고 어떤 품목이 내렸을까

1) 공업제품·서비스, 상승률 낮았다

통계청은 서비스(2.2%), 전기·가스·수도(3.5%), 가공식품(1.8%) 품목 등의 상승률 둔화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 하락의 배경이라고 밝혔습니다.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으로 공업제품(1.5%)의 물가 상승률도 낮았죠.

 

2) 과일·채소는 금값

반면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입니다. 특히 과일·채소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 가격은 전년 대비 9.8%나 올랐는데요. 여름철 폭염·폭우, 작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인해 2010년(21.3%) 이후 14년 만에 최고 상승 폭을 기록했죠. 국민 과일인 사과와 배의 가격은 각각 30.2%와 71.9%씩 올랐고, 배추 가격도 25.0% 폭등했습니다.

 

3)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 확인돼

이외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근원물가지수로 활용하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오르며 상승률이 전년(3.4%) 대비 크게 낮아졌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측정하는 생활물가지수의 상승률도 2.7%로, 전년(3.9%) 대비 대폭 하락했죠.

 

근원물가지수란 물가 변동의 기초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에너지와 식료품처럼 가격 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하고 집계한 물가지수입니다.

 

반응형

3. 올해 물가는 어떨까?

1) 길게 보면 둔화할 거야

경기 부진 장기화 전망, 국제유가 상승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더 둔화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을 1.9%로 예상했는데요.

 

2) 연초에는 잠시…

다만, 국내외 정세 불안은 변수로 꼽힙니다. 당장 계엄 사태 이후 달러/원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올해 초엔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달러로 거래되는 석유류, 수입 물품의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1월 물가 상승률이 2%대로 뛸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명품 업계의 경우 이런 환율 상승을 반영해 진작부터 가격 인상 작업에 착수했죠.

 

3) 고물가 막을 대책은?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장하고 식료품 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을 내놓습니다.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 에너지·농식품 바우처 지원, 주요 식품 원료 할당관세 지원 등의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입니다.


 

 

다가온 2025년, 바뀌는 경제 정책 훑어보기

말 많고 탈 많은 2024년이 지나, 내일이면 2025년의 해가 밝아옵니다. 2025년부터는 금융, 출산 및 양육, 부동산 등 여러 방면에서 많은 변화가 찾아오는데요. 달라지는 2025년 정책을 한눈에 정리해

mkpark01.tistory.com

 

 

사상 첫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과 정치에 발목 잡히는 경제

1. 사상 첫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1) 국회 통과한 탄핵소추안지난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소추안이 참석 의원 192명의 전원 찬성으로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

mkpark01.tistory.com

 

 

미리보는 2025 을사년 산업 전망 (feat. 경제 전문가와 단체)

2025년 새해를 앞두고 내년 경제에 대한 우려 섞인 전망이 많아요. 트럼프 2기 출범과 탄핵 정국으로 국내외 정세가 불안정한 데다가, 고물가로 내수시장이 침체되면서 경기가 반전될 기미가 보

mkpark01.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