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거시경제94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사전 예측 (feat. 금리 인상 or 동결) 금리는 5.375%로 동결 예상입니다. 파월 의장이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한 진전이 없다는 발언을 한 것을 감안하면 FOMC 성명서에는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파적인 기자회견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준이 보다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동안 인내심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Q&A에서 파월 의장은 "언젠가는" 금리 인하를 예상하지만 연준이 금리 인하를 "예상보다 오래" 기다릴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시그널은 6월에 시작될 매개변수 및 시작일 발표와 함께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의 금리 전략가들은 시장이 현재 수준보다 더 매파적인 결과를 가격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다른 방향으로 바뀌지 않는 한 연준이 금.. 2024. 4. 30.
디스인플레이션 추세를 포기하지 않는 연준 (feat. 금리 인상) 1. 디스인플레이션 추세를 포기하지 않는 연준연준은 디스인플레이션 속도에 대한 확신이 떨어질 수 있지만,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본 전망을 그렇게 빨리 포기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연준은 여전히 경제가 노동 공급의 반등이라는 형태의 우호적인 공급 충격을 받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가 잠재 성장률과 실제 성장률을 높이는 동시에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을 하향 추세로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관망하는 접근 방식으로 보류 유지기본 전망이 바뀌지 않았다면 고착화된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한 올바른 정책 대응은 현재의 제한적인 정책 기조를 더 오래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번 기자회견의 주요 메시지는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파월 의장은 다음 조치는 여전히 .. 2024. 4. 27.
세계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관망세 지속 (feat. 계속되는 기다림의 게임) 올해 미국 연준(Fed)과 다른 주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를 기다리는 관망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이 글로벌 증시는 좋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연초에 말씀드렸듯이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왜곡이 정상화되었고 2024년은 "정상적인" 확장적 경제, 즉 건전한 수준의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보이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계속되는 기다림의 게임소비는 1분기에도 계속해서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4분기 연간 국내총생산(GDP)이 3% 이상 성장했습니다. 실업률은 장기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에서 확장세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광범위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에서는 성장세가 .. 2024. 4. 25.
미국 성장세 강화에 수혜받는 일본 (feat. 엔화약세에 따른 수출은 위험) 미국 매크로와 금리의 장기 강세/상승은 궁극적으로 일본 증시에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환율 및 자금 조달 비용 역풍을 감안할 때 아시아/유럽 증시는 혼조세입니다. 또한 계절적으로 모멘텀 반전 시기가 도래하는 가운데 USD/JPY가 155에 근접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시장 주도권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1. 일본, 근본적으로 미국 성장세 강화에 수혜 격주간, 고금리, 선거 및 지정학 탐색(2024년 4월 16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본과 대만은 수익 노출과 미국 성장률 전망과의 상관관계 측면에서 아시아/유럽에서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시장입니다. 두 국가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해외 매출 비중을 고려할 때 달러 강세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이는 엔화 또는 대만 달러로 환산할 때 이득이 됩니다. .. 2024. 4. 21.
거시경제 측면에서 바라본 주식 수급 및 시장 동향 1. 주식 수급 동인은 계속해서 숨 고르기 중 지난주에 주식 수요-공급의 중기 동인은 매우 견고해 보이지만 지난 3주 동안과 마찬가지로 단기적으로 숨 고르기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주 포지션은 2월부터 이어진 좁은 범위의 하단을 다시 회복했습니다. 주식형 펀드는 대규모 자금 유출(-200억 달러)로 지난주 유입(+140억 달러)을 상쇄하며 4월의 전형적인 계절성을 유지했습니다. 실적 발표를 앞둔 기업들의 공매도 기간으로 인해 환매가 감소했지만 어닝 시즌이 시작되면서 서서히 회복세를 보일 것입니다. 2. 어닝 시즌 랠리는 약화될 가능성 상승 1분기에는 견조한 헤드라인 이익 성장률(10%)이 예상되지만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적 시즌은 일반적으로 주식.. 2024. 4. 19.
세상의 변화를 기다리며 (feat. 미국 경제지표의 호조) 미국의 경제지표가 또 한 달째 호조를 보이면서 FOMC는 동결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3월 비농업 고용은 30만 3천 개 증가하여 월평균 27만 6천 개의 일자리가 증가했던 1분기의 강세를 마감했습니다. 실업률은 3.8%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2.0%~2.5%를 기록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데이터도 최근 몇 달 동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월까지 3개월 동안 핵심 CPI는 연율 4.5%로 2023년 5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했습니다.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PCE 디플레이터에 대한 데이터는 2월까지만 제공되지만, 2% 인플레이션으로의 하락이 일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 관리들은 이를 주목하고 있으며, 대중과의 소통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2024. 4. 17.
저소득층 가구의 극도로 힘든 시기 직면 (feat. 아메리칸 드림이 슬로우 레인) 저는 월스트리트 저널을 많이 보지는 않지만, 주로 제임스 매킨토시(전 FT)의 통찰력 있는 기사를 따라잡기 위해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아메리칸드림이 슬로우 레인에서 멀어지는 사람들'에서 그는 다른 가계 부문과 달리 저소득층 가구가 갑자기 극도로 힘든 시기를 맞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러한 압박은 소비자 신용 연체와 연체율의 급증, 그리고 이러한 가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수익 경고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이번 미국 선거의 해에 불평등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정책 입안자들에게 실질적인 문제가 될 것입니다. 연준은 어떻게 할까요? 전통적으로 연준은 일반적으로 재정 정책으로 해결되는 불평등 완화를 위해 금리 정책을 전환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기득권층'에.. 2024. 3. 25.
원화가 안정적인 이유 3가지 (feat. 균형 잡힌 국내 주식 자금 흐름) 투자자들은 수출과 자본 유입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서 원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월에 60억 달러의 대규모 외국인 주식이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상승하지 않는 등 원화 안정세에 대해 투자자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실망하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원화가 안정적인 것은 크게 세 가지 요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 1월 2% 상승에 이어 2월에도 1% 가까이 상승하는 등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외국인 주식 순매도로 인한 달러/원 하락 압력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2. 2월 국내 주식 자금 흐름은 이전보다 균형 잡힌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KSD)의 부분 유출입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외국인 주식 유입이 많았지만 국내 투자자들도 해외 .. 2024. 3. 23.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질 것 (feat. 양적 긴축 형태) 올해에는 대차대조표 구성과 양적 긴축(QT) 형태 등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연준, 유럽중앙은행, 일본은행은 앞으로 매우 다른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이번에는 대차대조표 규모의 동인, 중앙은행 간 구성의 차이, 향후 QT에 대해 예상할 수 있는 사항을 설명합니다. 대차대조표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네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QT는 양적완화와 반대되는 것이 아닙니다. 양적 완화는 시장의 혼란과 광범위한 성장 둔화 속에서 이루어졌지만, QT는 시장이 회복되고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