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티끌 모아 태산 프로젝트 (feat. 스포츠활동 인센티브 튼튼머니)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4. 6. 30.
반응형

티끌 모아 태산 프로젝트 (feat. 스포츠활동 인센티브 튼튼머니)
티끌 모아 태산 프로젝트 (feat. 스포츠활동 인센티브 튼튼머니)

 

1. 티끌 모아 태산 프로젝트

카드 결제일만 되면 통장의 돈이 후루룩 빨려나가잖아요. 일단 돈이 있어야 재테크든 계획적인 소비든 할 텐데 말이죠. 그래서 이번에 돈 벌 수 있는 정책들을 쭉 한번 모아봤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운동 관련 정책들을 가져왔어요.

 

1) 스포츠활동 인센티브 튼튼머니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추진하는 사업인데요. 운동하고 체력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포인트(튼튼머니)를 쌓을 수 있다고 해요. 자세히 들여다보자면

 

① 가입 대상

만 11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요. 단, 국민체력100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미리 해놔야 해요.

 

② 적립 방법

전국의 튼튼머니 인증 시설에 있는 QR 코드를 2번 찍어주면 1회당 1천 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어요. 이 외에도 체력 측정 등으로 포인트를 모을 수 있다고.

 

③ 포인트 사용

1년에 최대 5만 포인트까지 적립할 수 있는 튼튼머니는 스포츠 상품권으로 전환할 수 있어요. 제로페이 사용이 가능한 스포츠용품점, 병원, 스포츠시설, 약국 등의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④ 주의할 점

튼튼머니에 배정된 예산이 바닥나면, 쌓아둔 튼튼머니가 사라질 수 있어요. 미리미리 상품권으로 전환해 주는 것이 좋아요.

 

반응형

2)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인데요. 건강을 위해 행동을 개선하고 실천하는 것만으로 포인트를 쌓을 수 있다고 해요. 자세히 들여다보자면

 

① 참여 대상

일부 건강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이 대상이에요. MINK님이 참여 대상인지 아닌지는 여기(국민건강보험)에서 하단의 "참여신청 바로가기"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어요.

 

② 적립 방법

걷기, 건강관리 프로그램 이수 등을 통해 포인트를 꾸준히 벌 수 있어요. 이 외에도 그간의 성과를 점검/평가받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어요.

 

③ 포인트 사용

참여 유형에 따라 1년에 8만 점 or 2년에 12만 점까지 적립할 수 있어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인터넷 몰에서 쓸 수 있고, 모바일 상품권으로 전환해서 쓸 수도 있어요.

 

④ 주의할 점

마찬가지로 예산에 따라 포인트 지급 규모가 조정되거나 이월될 수 있어요.

 

국가건강검진 결과 체질량지수 25.0kg/m2 이상이며, 혈압이 120(수축기)/80(이완기)mmHg 이상이거나 공복혈당 100mg/dL 이상인 만 20~64세 국민,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고혈압, 당뇨병 환자 등. 참여할 수 있는 지역에도 제한이 있어요.

 

운동 나갈 때마다 쌓이는 포인트를 동기부여 삼아, 작심삼일 운동이 아닌 작심 한 달 운동에 도전해 보세요. 잠깐의 힘듦은 곧 수십 배에 달하는 건강 혜택으로 돌아올 거예요.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3대 핵심분야 총력 지원과 사회인식 변화 노력 강화

지난 19일 ‘인구 국가비상사태'가 선언됐어요. 무시무시하죠. 그리고 보도자료가 나왔는데요. 제목은 입니다. 정말 거창하네요. 이유가 있어요. 올 1분기 기준 합계출산율이 0.76명으로 역대 최

mkpark01.tistory.com

 

 

해외 여행 수요는 늘지만 면세점 쇼핑 매력은 하락 (feat. 환율과 물가)

해외여행의 묘미로 꼽혔던 면세점 쇼핑, 이젠 옛말이 된 듯합니다. 치솟는 환율과 물가에 면세점 쇼핑의 매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롯데, 신라, 신세계 빅 3으로 꼽히는 면세점 중 누가

mkpark01.tistory.com

 

 

국가 비상사태에 대처하는 세 가지 방법 (feat. 인구 국가 비상사태)

정부가 지난 19일 공식적으로 ‘인구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했어요. 출생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나라의 존립을 걱정해야 할 만큼 심각한 상황을 맞았기 때문이에요. 이제는 누구나 인식하고

mkpark01.tistory.com

반응형

댓글